우리가 너무나 쉽게 접하고 있는 사진의 원리를 알면, 조금 더 감성 감성 한 사진들을 찍고, 생각지 못한 방식으로 수익까지 가져다주는 시대를 살고 있기 때문에 사진에 대해서 조금씩 알면 도움이 되실 것 같아서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사진의 기초적인 부분들을 알아가 보면 어떨까요? 오늘은 그 첫 시간으로 조리개와 심도에 대해서 나누어 보려고 해요. 합니다.
123
1. 조리개
사진은 빛으로 만들어져요.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이 이미지 센서(CCD)에 기록되면서 비로소 사진이 완성되는 거지요. 이 때 렌즈를 통해서 들어오는 빛의 양이 많으면 이 사진은 어떤 사진이 될까요? 많은 빛의 양이 들어왔기 때문에 밝은 사진이 되고, 빛의 양이 적으면 어두운 사진이 되는 거지요.
따라서 여러분들이 밝은 사진을 찍고 싶다면 조리개를 많이 열어 빛을 많이 들어오게 하면 되구요. 나는 사진을 어둡게 찍고 싶다면, 조리개를 닫아 빛이 적게 들어오도록 조절하면 되는 거지요.
카메라의 정보 창을 보면, 여러 알파벳과 숫자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F가 바로 조리개 값을 표시하는 거예요. 즉, 조리개의 값이 숫자로 표시된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지요? 렌즈 안에 장착되어 있는 조리개가 열리고, 닫히면서 빛이 양을 조절하게 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F 값의 숫자가 낮을수록 조리개는 열려서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게 되고, F 값의 숫자가 커질수록 조리개는 조여지게 되고, 렌즈로 들어오는 빛은 줄어든다. 우리가 뭔가를 확실하게 보고 싶다면 눈을 부릎 뜨고, 눈부실 때 실눈(?)을 뜨는 것과 같이 F 값을 낮추면 조리개가 열려서 많은 빛을 받게 되고, F 값을 높이면 조리개는 조여져 빛의 양이 주는 것과 같습니다.
밝은 사진을 찍고 싶다면..? | 빛의 양을 늘려라 | 조리개를 열어라 | F값을 낮춰라 |
어두운 사진을 찍고 싶다면..? | 빛의 양을 줄여라 | 조리개를 조여라 | F값을 높여라 |
※ 조리개를 열고 싶다면, F 값을 낮추고 / 조리개를 닫고 싶다면, F 값을 높여라
(숫자를 높이면 열린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반대로 생각하셔야 해요.
높이면 닫힌다 / 낮추면 열린다 )
123
2. 심도
사진의 용어 중에 '심도(피사계 심도)'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심도'라고 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쉽게 말해서 초점이 맞는 범위를 말해요.
1) 심도가 얕은 사진이란?
이렇게 일부 피사체에만 초점이 맞으면 '심도가 얕다'고 하고, 조리개 수치가 낮을 수록 심도는 얕아지는 거예요. 특정 피사체에만 초점이 맞고 나머지는 흐릿한 사진. 즉, 이런 사진을 아웃포커스(Out of Focus)라고 해요. 아래의 사진과 같은 경우가 여기에 해당되어요. 그러면 조금 더 이해가 쉬우시겠죠?
2) 심도가 깊은 사진이란?
반대로 사진 속 모든 피사체에 초점이 골고루 맞으면 '심도가 깊다'라고 해요. 쉽게 말해서 배경까지 또렷하게 초점이 맞은 경우가 여기에 해당하는 거지요. 심도가 깊은 사진은 사진 전체가 선명하게 표현되는 팬포커스(Pan Focus)라 해요.
123
이해가 되셨나요? 사진을 이론적으로 알아가다보면, 용어 등의 어려움이 있을 것 같아요. 저도 그랬고요. 그래서 최대한 알기 쉽게 제가 아는 선에서 기초적인 부분들을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조리개와 심도에 대해서 나누어 보셨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앞으로도 꾸준히 포스팅 해볼게요^^ 기대해주세요~
'취미생활 > 사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의기초.05 I P/A/S/M모드 (0) | 2021.07.25 |
---|---|
사진의 기초04. 노출보정 (0) | 2021.07.15 |
사진의 기초03. 감도 (0) | 2021.07.13 |
사진의 기초02. 셔터스피드 (0) | 2021.07.09 |
댓글